진성이의 논문스토리

[이교수의 논문 이야기] 논문은 왜 어려울까? - 3 본문

논문 Story

[이교수의 논문 이야기] 논문은 왜 어려울까? - 3

논문교수 진성이 2021. 4. 28. 15:30

진성논문통계컨설팅연구소

진실성 도덕적 신념에 기반을 둔 경영철학을 바탕으로

다양한 연구 활동 및 통계분석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대표소장은 대학원 강의교수이자 논문심사위원입니다.

대표소장이 직접

연구방법론, 통계분석법 교육, 논문지도

연구자의 연구역량을 키워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진성논문통계연구소 입니다.

 

연구 방법? 통계 분석? 그거 어떻게 하는건데..

 

오늘은 지난번 '지도교수의 역할' 에 이어서

논문 작성시 겪게 되는 어려움 중 '연구 방법과 통계 분석' 이라는 주제로 포스팅을 해보려 합니다.

"논문은 왜 어려울까?"

논문작성은 힘든 과정의 연속입니다.

특히 학위논문 과정은 짧은 시간안에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연구주제 선정부터 논문완성까지 여러가지 난관에 부딪히게 됩니다.

아주 오랜시간 학업과 함께 했음에도 논문 작성의 과정은 여전히 어렵습니다.

이는 전공 관련 지식을 습득하는 것과 이를 기반으로 논문을 작성하는 것은 다소 차이가 있으며

또 다른 학습훈련이 필요함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이 과정을 거치며 연구자는 스스로 논리적 사고를 연마하고, 연구를 진행할 수 있는 지식을 얻게 됩니다.

10년여 간 86명의 석, 박사 논문 지도과정 동안 필자 또한 어려움을 느꼈고, 논문 작성을 위한 학습과 훈련이 필요하다 생각했습니다.

논문을 작성하며 대학원생이 겪을 수 있는 어려움과 그 이유에 대해 정리해 보았습니다.


연구방법과 통계분석을 잘 모르는 이유에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대학원 과정 중 연구방법론(논문작성)통계 분석과정(필수 또는 선택) 수업이 개설 되어있음에도

학습을 하지않았거나, 수업을 들었음에도 제대로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수업 방법에 있어 단순히 해당 과목에 대한 지식 전달에만 한정한 교육 방법이 제시되기도 합니다.

최근 코로나19로 인해 대면 수업보다 비대면 수업의 비중이 커지며 수업에 집중하기 힘들거나

즉각적인 소통의 부재로 이러한 지식 전달에 그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2020년 상반기 한국사립대학총장협의회 자료에 따르면, 193개 4년제 대학 중

전체 대학의 85.9%인 165개 대학이 1학기 동안 비대면 수업을 진행하기로 하였다.

그러나 온라인 교육이 지속되면서 일부 대학생들은 학습권을 침해당했다며

등록금 환물 및 반환을 요구하는 집단행동을 이어가고 있다.

전국대학학생회네트워크 집행위원장 이해지 기자

대학원생이 논문 작성 단계에 이르면 ' 대학원 과정에서 뭘 배웠는지 모르겠다 '

연구방법 및 통계 분석 강의를 듣고자 필자를 찾아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필자는 전공 과목의 지식 습득 이외에도 논문 적용 여부를 중심으로 하는

대학원 수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물론 대학 수업의 개선도 필요합니다.

대학원생 스스로 연구주제를 찾고

논문 작성법을 익히며 통계 분석을 자연스럽게 논문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우선 자기주도적학습을 통한 충분한 지식 습득이 필요합니다.

앞선 학습의 부재로 논문 작성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은

손쉬운 논문 작성을 위해 고액의 비용을 들여 논문컨설팅업체를 찾기도 합니다.

 

그러나 정작 논문작성에 필요한 연구방법 및 통계분석 방법을 잘 알려주지 않을 뿐더러

제대로 강의할 수 있는 지도박사를 찾는 것 조차 힘듭니다.

이러한 문제는 비록 학위를 받게 되더라도

"대필" 등의 유혹으로 자신에게 영원한 마음의 빚을 지게 됩니다.


필자는 논문을 지도하거나 학술지, 학위논문 등의 심사과정을 지켜보며

안타까움을 자주 느끼곤 합니다.

연구자에게 논문에 관련한 질문이 이어졌을때

많은 연구자들이 심사에 통과하거나 쉬운 논문 작성 및 수정을 위해

"이번 한 번만 부탁 드립니다" 와 같은 비굴한 모습을 보이곤 합니다.

심사 위원의 입장에서

'정말로 연구자가 직접 작성한 논문이 맞는가?'

'논문이 베끼는 작업인가?'

'왜 학위 논문을 쓰려고 할까?'

등의 생각과 함께 많은 회의감이 밀려 옵니다.

연구자는 연구윤리를 먼저 생각하며 학문적 연구에 대해

양심을 갖고, 논문컨설팅 업체와 같은 타인에게 의존하려는 자세에서 벗어나

스스로 연구를 해내겠다는 태도를 우선시 해야 합니다.

정말 도움이 필요하다면 본인이 정말 해내기 어려운 부분에

대해서 도움을 받아야 하며 무엇보다도

논문 작성 이전에 논문 작성법통계 분석 방법에 대한

사전 학습이 절대적으로 중요함을 재차 강조드립니다.

누가 대신할 수 없는 연구자 본인의 논문입니다


이상으로 "논문은 왜 어려울까?" 의 세 번째 답변인 '연구 방법과 통계 분석'에 대하여

필자의 의견을 적어보았습니다.

논문 작성은 매우 어렵지만, 꾸준한 학습훈련이 있다면

스스로 해낼 수 있는 충분한 능력을 갖추실 수 있으리라 믿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에는 네 번째 답변인 '논문 작성에서의 글쓰기' 에 대한 글로 돌아오겠습니다.

 


 

* 궁금한 점은 하단의 댓글이나 쪽지, 이메일, 번호로 편하게 남겨 주세요.

하단의 카카오톡 오픈채팅 링크를 클릭하셔서 자유롭게 질문해주셔도 좋습니다.

https://open.kakao.com/o/s9v1lA0c

 

진성논문통계컨설팅연구소 상담방

#논문컨설팅, #박사논문컨설팅, #석사논문컨설팅, #논문상담, #논문통계, #통계분석, #연구계획서, #통계분석비용, #논문컨설팅비용

open.kakao.com

 

 진성논문통계컨설팅 연구소 연구윤리를 준수합니다.

본 사이트의 모든 문구 및 이미지의 저작권은 진성논문통계컨설팅 연구소에 있습니다.

이에 대한 무단 도용, 복제 및 사용을 금지하며, 당사의 허락없이 무단으로

사용할 시에는 관계 법령에 의거하여 처벌 받을 수 있습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