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SPSS사용법
- 진성논문통계컨설팅연구소
- 참고문헌작성법
- 논문컨설팅후기
- 논문작성
- APA양식
- SPSS기초
- 진성논문통계
- 참고문헌
- 참고문헌팁
- APA스타일
- 논문작성법
- 논문지도
- 참고문헌작성
- amos
- APA
- 참고문헌표기법
- 석사학위논문
- 논문컨설팅
- 학위논문
- 진성논문통계연구소
- 통계분석
- 석사논문컨설팅
- spss
- 박사논문컨설팅
- 석사논문
- 박사논문후기
- 논문통계
- 통계프로그램
- 진성논문통계컨설팅
- Today
- Total
진성이의 논문스토리
[이교수의 논문 이야기] 논문은 왜 어려울까? - 2 본문
진성논문통계컨설팅연구소는
진실성과 도덕적 신념에 기반을 둔 경영철학을 바탕으로
다양한 연구 활동 및 통계분석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대표소장은 대학원 강의교수이자 논문심사위원입니다.
대표소장이 직접
연구방법론, 통계분석법 교육, 논문지도로
연구자의 연구역량을 키워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진성논문통계연구소 입니다.
지도교수가 왜 그럴까..
오늘은 논문 작성시 겪게 되는 어려움 중 '지도교수의 역할' 이라는 주제로 포스팅을 해보려 합니다.
"논문은 왜 어려울까?"
논문작성은 힘든 과정의 연속입니다.
특히 학위논문 과정은 짧은 시간안에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연구주제 선정부터 논문완성까지 여러가지 난관에 부딪히게 됩니다.
아주 오랜시간 학업과 함께 했음에도 논문 작성의 과정은 여전히 어렵습니다.
이는 전공 관련 지식을 습득하는 것과 이를 기반으로 논문을 작성하는 것은 다소 차이가 있으며
또 다른 학습과 훈련이 필요함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이 과정을 거치며 연구자는 스스로 논리적 사고를 연마하고, 연구를 진행할 수 있는 지식을 얻게 됩니다.
10년여 간 86명의 석, 박사 논문 지도과정 동안 필자 또한 어려움을 느꼈고, 논문 작성을 위한 학습과 훈련이 필요하다 생각했습니다.
논문을 작성하며 대학원생이 겪을 수 있는 어려움과 그 이유에 대해 정리해 보았습니다.
대부분의 대학원생은 지도교수가 논문 작성에 대한 방법과 통계 분석 방법 등을
강의에서 수강하거나 직접 지도해 줄 것으로 착각하고 있습니다.
물론 지도교수에 따라 천차만별이지만, 이는 본래 지도교수가 아닌 학업자 본인의 몫입니다.
교수는 학교 행정을 담당하며 매우 바쁜 시간을 보냅니다.
학교 수업뿐 아닌 학회 활동과 본인 연구 진행까지
교수들은 학생의 논문 지도에 많은 신경을 쓸 만큼 충분한 여유를 갖고 있지 않습니다.
물론 지도교수로서 대학원생의 논문지도에 충분한 시간을 쏟아야 하는 것은 당연합니다.
그러나 어디까지나 논문 작성에 필요한 기초 지식과 통계 분석 등을
가르쳐주는 사람으로 여겨서는 안됩니다.
또한 대학원생의 연구 주제나 연구 방법에 따라 지도교수가 잘 모르는 분야도 존재하기 때문에
이에 대하여 대학원생 스스로가 철저히 준비해야하는 것입니다.
실제로 필자가 논문을 지도하는 과정에서 대부분의 대학원생들은 다음과 같은 불평의 목소리를 내었습니다.
' 지도교수가 제대로 논문지도를 해주지 않는다 '
그러나 필자가 대학원생들로 하여금 연구자로서 논문 작성과 관련하여
얼마나 준비하고 갖추었는지를 확인해 보면
학위 과정을 수료했음에도 논문 작성에 필요한 기초 지식이 부족한 경우가 많았습니다.
논문 지도교수는 '코치' 의 역할을 맡아 대학원생이 작성한
논문의 방향성을 잡아주고, 수정이 필요한 내용을 지적해주는 등의
역할을 맡고있습니다.
따라서 연구자는 무조건적인 불평 이전에 본인의 부족한 부분을 채우고자
성실하게 노력하고, 연구자 본인이 논문 작성을 위한 학습에 우선 집중해야 합니다.
이상으로 "논문은 왜 어려울까?" 의 두 번째 답변인 '지도교수의 역할'에 대하여
필자의 의견을 적어보았습니다.
논문 작성은 매우 어렵지만, 꾸준한 학습과 훈련이 있다면
스스로 해낼 수 있는 충분한 능력을 갖추실 수 있으리라 믿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에는 세 번째 답변인 '연구 방법과 통계 분석' 에 대한 글로 돌아오겠습니다.
* 궁금한 점은 하단의 댓글이나 쪽지, 이메일, 번호로 편하게 남겨 주세요.
하단의 카카오톡 오픈채팅 링크를 클릭하셔서 자유롭게 질문해주셔도 좋습니다.
https://open.kakao.com/o/s9v1lA0c
진성논문통계컨설팅연구소 상담방
#논문컨설팅, #박사논문컨설팅, #석사논문컨설팅, #논문상담, #논문통계, #통계분석, #연구계획서, #통계분석비용, #논문컨설팅비용
open.kakao.com
※ 진성논문통계컨설팅 연구소는 연구윤리를 준수합니다.
본 사이트의 모든 문구 및 이미지의 저작권은 진성논문통계컨설팅 연구소에 있습니다.
이에 대한 무단 도용, 복제 및 사용을 금지하며, 당사의 허락없이 무단으로
사용할 시에는 관계 법령에 의거하여 처벌 받을 수 있습니다.
'논문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교수의 논문 이야기] 논문은 왜 어려울까? - 5 (0) | 2021.04.28 |
---|---|
[이교수의 논문 이야기] 논문은 왜 어려울까? - 4 (0) | 2021.04.28 |
[이교수의 논문 이야기] 논문은 왜 어려울까? - 3 (0) | 2021.04.28 |
[이교수의 논문 이야기] 논문은 왜 어려울까? - 1 (0) | 2021.04.28 |
[논문 작성법] 논문컨설팅업체를 선택하는 기준 (0) | 2021.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