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SPSS기초
- 진성논문통계컨설팅연구소
- APA
- 논문작성법
- SPSS사용법
- 참고문헌
- 참고문헌표기법
- 석사학위논문
- amos
- 박사논문컨설팅
- 진성논문통계
- 석사논문
- 통계프로그램
- 진성논문통계연구소
- 논문통계
- 박사논문후기
- APA스타일
- 진성논문통계컨설팅
- 학위논문
- 논문작성
- 참고문헌작성
- APA양식
- 논문지도
- 통계분석
- 석사논문컨설팅
- spss
- 참고문헌팁
- 참고문헌작성법
- 논문컨설팅
- 논문컨설팅후기
- Today
- Total
진성이의 논문스토리
[이교수의 논문 이야기] 논문은 왜 어려울까? - 5 본문
진성논문통계컨설팅연구소는
진실성과 도덕적 신념에 기반을 둔 경영철학을 바탕으로
다양한 연구 활동 및 통계분석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대표소장은 대학원 강의교수이자 논문심사위원입니다.
대표소장이 직접
연구방법론, 통계분석법 교육, 논문지도로
연구자의 연구역량을 키워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진성논문통계연구소 입니다.
연구 방법도 모른 채 연구 주제를 잡다
오늘은 지난번 '논문 작성에서의 글쓰기' 에 이어서
논문 작성시 겪게 되는 어려움 중 최고라 말할 수 있는
'연구 주제의 선정' 에 대해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논문은 왜 어려울까?"
논문작성은 힘든 과정의 연속입니다.
특히 학위논문 과정은 짧은 시간안에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연구주제 선정부터 논문완성까지 여러가지 난관에 부딪히게 됩니다.
아주 오랜시간 학업을 했음에도 논문 작성의 과정은 여전히 어렵습니다.
이는 전공 관련 지식을 습득하는 것과 이를 기반으로 논문을 작성하는 것은 다소 차이가 있으며
또 다른 학습과 훈련이 필요함을 의미합니다.
대학원생은 전공과목 수학으로 연구에 필요한 아이디어를 얻고
논리적 사고를 연마하여,
스스로 연구를 진행할 수 있게 됩니다.
필자는 10년여 간 86명의 석, 박사 논문 지도과정 동안
논문 작성을 위한 학습과 훈련이 필요하다 생각했습니다.
대학원생이 논문을 작성과정에서 겪을 수 있는 어려움과 그 이유에 대해 정리해 보았습니다.
필자가 대학원 수업이나 논문 지도 과정에서 확인한
대학원생이 가장 어려워하는 요소는
연구 주제 선정 입니다.
연구 주제의 선정은 대학원 입학과 동시에 껴안게 되는 숙제로
연구 주제는 많은 대학원생들이 가장 스트레스 받는 요소입니다.
대부분의 연구자들은 연구 주제 질문에 대한 답으로
' 연구자의 관심이나 호기심 ' 에 머물러 있습니다.
대학원생이 다른 답변을 얻기 위해 지도교수에게 질문할 경우 돌아오는 답은
' 충분한 선행 연구를 하세요 ' 등의 다소 평범한 답변으로 갈음됩니다.
대부분의 대학원생은 선행 연구의 중요성과 이유를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고
본인의 관심사나 호기심만을 이야기합니다.
선행 연구로 대략 5편 정도의 논문을 읽고 나면
이내 지치게 되고 더 이상의 진도를 나가는 것이 어렵습니다.
' 논문 읽기는 체질에 맞지 않아 '
' 논문 읽는건 너무 어렵다 '
' 별거 아닌 내용을 왜 이렇게 복잡하게 말하지? '
다양한 푸념과 함께 앞서 읽은 논문의 내용이 잘 기억나지 않고
계속하여 논문 작성을 이어나갈 의지를 상실하곤 합니다.
왜 그럴까요?
논문은 특별한 사람 이외에는 흥미를 느끼기 어려운 분야입니다.
연구 결과의 경우 숫자의 나열로 되어 있어 의미를 파악하거나
데이터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경우 더욱 흥미가 떨어질 수 밖에 없습니다.
연구자는 우선
본인의 관심사에 대한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연구의 제한점, 제언 등을 확인해야 합니다.
연구주제는 관심과 호기심에서 더 나아가
연구의 가치, 중요성, 차별성 등의 고려해야 합니다.
현재 사회적 관심사, 해결해야 할 문제 등을 알아보며
이론적, 실무적 차원에서의 제언과 함께
연구 주제를 선정하고, 올바른 연구 방법을 선정하여야 합니다.
이상으로 "논문은 왜 어려울까?" 의 마지막 답변인 '연구 주제의 선정'에 대하여
필자의 의견을 적어보았습니다.
논문 작성은 매우 어렵지만, 꾸준한 학습과 훈련이 있다면
스스로 해낼 수 있는 충분한 능력을 갖추실 수 있으리라 믿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에는 '논문 컨설팅 업체의 현실' 에 대한 글로 돌아오겠습니다.
* 궁금한 점은 하단의 댓글이나 쪽지, 이메일, 번호로 편하게 남겨 주세요.
하단의 카카오톡 오픈채팅 링크를 클릭하셔서 자유롭게 질문해주셔도 좋습니다.
https://open.kakao.com/o/s9v1lA0c
진성논문통계컨설팅연구소 상담방
#논문컨설팅, #박사논문컨설팅, #석사논문컨설팅, #논문상담, #논문통계, #통계분석, #연구계획서, #통계분석비용, #논문컨설팅비용
open.kakao.com
※ 진성논문통계컨설팅 연구소는 연구윤리를 준수합니다.
본 사이트의 모든 문구 및 이미지의 저작권은 진성논문통계컨설팅 연구소에 있습니다.
이에 대한 무단 도용, 복제 및 사용을 금지하며, 당사의 허락없이 무단으로
사용할 시에는 관계 법령에 의거하여 처벌 받을 수 있습니다.
'논문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교수의 팩트 체크] 논문컨설팅업체, 계약과 환불 (0) | 2021.04.28 |
---|---|
[이교수의 팩트 체크] 논문컨설팅업체, 대학원의 현실 (0) | 2021.04.28 |
[이교수의 논문 이야기] 논문은 왜 어려울까? - 4 (0) | 2021.04.28 |
[이교수의 논문 이야기] 논문은 왜 어려울까? - 3 (0) | 2021.04.28 |
[이교수의 논문 이야기] 논문은 왜 어려울까? - 2 (0) | 2021.04.28 |